아이 있는 가정이라면 '똑닥' 서비스 써본 적 있으실 겁니다. <br /> <br />모바일로 진료 예약을 하는 서비스인데, 올해 누적 가입자가 1,000만 돌파했고요. <br /> <br />예약 가능한 병·의원이 만 곳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늦게 온 예약 환자가 현장접수 환자보다 먼저 진료를 보는 경우가 생기면서 갈등이 불거진 건데요. <br /> <br />SNS에 올라온 글을 보면 1시 50분경 도착한 아이는 똑닥을 안 써서 대기하는데 3시가 넘어서 온 아이는 똑닥으로 예약해 먼저 들어갔다며 불만을 토로합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똑닥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데요. <br /> <br />오픈런을 하지 않아도 되고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덜었다고 좋아하는 반응도 있지만, <br /> <br />앱을 사용하지 않으면 진료를 받기조차 힘들다는 볼멘소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어머니 A 씨 : 만약에 예를 들어 오전 진료를 50명 볼 수 있으면 '똑닥'으로 50명 접수가 완료되면 아예 접수창구를 닫아 버리셔서 중간에 10시에 가서 진료를 보고 싶다고 해도 접수조차 안 되고.] <br /> <br />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의 불편은 더 큽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똑닥 이용자를 보니, 30~40대 비중은 75.5%로 4분의 3을 차지했지만 60대 이상 이용자 비중은 3%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다 보니 앱을 못 쓰는 고령층은 몇 시간씩 줄을 서는 상황이 생기는 겁니다. <br /> <br />줄 서기 불평등이란 말까지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노년층에 대한 교육과 함께 기존의 전화와 현장 예약도 배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또, 지난 9월부터는 똑닥이 유료화되면서 이용자들은 매달 1,000원, 연간 1만 원을 내야 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 국민신문고에는 공공재인 병원 진료 예약이 유료화하면서 의료서비스에 격차가 생기는 만큼 공공이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올라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0월 국감에서도 똑닥 유료화가 진료에서의 차별을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왔는데요. <br /> <br />정부 차원의 대책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엄지민 (thumb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20714084940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